세계유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1972년에 채택한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 협약‘(세계유산협약)에 근거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가 있다고 인정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한 유산을 말합니다. 세계유산은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분류됩니다.

세계유산의 정의

  • 세계유산정의 배경
    1
    문화유산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은 기념물과 건조물군, 유적지로 구성됩니다. 기념물은 역사, 예술, 학문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 조각, 회화, 고고 유물 등의 유산입니다. 건조물군은 독립적이거나 연결된 구조물로서 역사적, 미술적으로 가치를 지닌 것을 말합니다. 유적지는 역사, 관상, 민족학 또는 인류학상으로 가치가 있는 인공물 또는 인공과 자연이 결합된 고고학적 유적을 포함한 구역입니다.

  • 세계유산정의 배경
    2
    자연유산 (Natural Heritage)

    자연유산은 무기적, 생물학적 생성물로 이루어진 자연기념물, 지질학적·지문학적 생성물과 위협에 처한 동·생물 생식지 및 자생지로 관상·과학·보존상 보편적 가치를 가진 것, 과학·보존·자연미의 시각에서 뛰어난 가치를 가진 자연 지역이나 자연 유적지를 말합니다.

  • 세계유산정의 배경
    3
    복합유산 (Mixed Heritage)

    복합유산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유산입니다.

세계유산 등재 기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한 나라에 머물지 않고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있어야 합니다. 세계유산 운영지침은 유산의 탁월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10가지 가치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기준 Ⅰ부터 Ⅵ까지는 문화유산에 해당되며, Ⅶ부터 Ⅹ까지는 자연유산에 해당됩니다.

가치평가기준 이외에도 문화유산은 기본적으로 재질이나 기법 등에서 유산이 진정성(authenticity)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모두 유산의 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제반 요소를 포함해야 하며, 법적, 제도적 관리 정책이 수립되어 있어야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습니다.

구분 기준 사례
문화
유산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호주 오페라 하우스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러시아 콜로멘스코이 성당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태국 아유타야 유적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종묘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 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 리비아 가다메스 옛도시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 권장) 일본 히로시마 원폭돔
* 모든 문화유산은 진정성(authenticity; 재질, 기법 등에서 원래 가치 보유) 필요
자연
유산
최상의 자연 현상이나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포함할 것 케냐 국립공원, 제주 용암동굴·화산섬
생명의 기록이나, 지형 발전상의 지질학적 주요 진행과정, 지형학이나 자연지리학적 측면의 중요 특징을 포함해 지구 역사상 주요단계를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 제주 용암동굴·화산섬
육상, 민물, 해안 및 해양 생태계와 동·식물 군락의 진화 및 발전에 있어 생태학적, 생물학적 주요 진행 과정을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일 것 케냐 국립공원
과학이나 보존 관점에서 볼 때 보편적 가치가 탁월하고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 생물학적 다양성의 현장 보존을 위해 가장 중요하고 의미가 큰 자연 서식지를 포괄 중국 쓰촨 자이언트팬더 보호구역
공통 완전성(integrity) : 유산의 가치를 충분히 보여줄 수 있는 충분한 제반 요소 보유
보호 및 관리체계 : 법적, 행정적 보호 제도, 완충지역(buffer zone) 설정 등